FAQ
보물행성 오픈채팅방 등에서 궁금하게 생각하시는 점에 대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지속적으로 연평균 APR 100~400% 를 유지하는게 팀의 목표입니다. 이 연평균은 보물토큰을 기준으로 산출되므로, 토큰 가격이 오르면 오히려 더 좋은 APR도 예상할 수 있지만 반대로 토큰 가격이 내려가면 수익률이 떨어지는데, 이 때는 일드파밍 바이백을 통해, 60%~200% 의 APR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다만 가상자산은 법정화폐와 달리 가치가 보장되지 않으며, 전 세계에서 거래되므로, 가상자산의 정책 뿐만 아니라, 국가별 법령 및 제도, 시장 상황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급격한 시세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NFT 투자결정은 본 독스등을 통해 충분히 확인한 후에 신중히 투자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보물 행성 프로젝트는 보물행성의 거버넌스 토큰인 보물토큰을 발행하고, 보물행성 프로젝트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개발, 운영하며, 관련한 모든 저작권 및 권리를 갖는 독립된 프로젝트입니다.
보물 행성 프로젝트는 피블 프로젝트의 ‘PLAYMETA’와 기술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또 피블 프로젝트는 보물 프로젝트의 퍼블리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보물행성 플랫폼은 피블의 P2E 플랫폼 솔루션인 플레이메타에서 구동되며, NFT 소유자들은 향후 플레이메타 플랫폼에서 다른 게임이 런칭될 때 런치패드 화이트리스트 혜택등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DOCS 의 플레이메타를 참조하세요.
보물행성은 에피소드 1로 출발, 에피소드 10까지 올 연말까지 정주행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습니다만 중간에 들어와도 채굴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에피 1부터 플레이하신 분들이 레벨을 올려서 다음 에피소드에 필요한 스킬과 합성자산을 만들 가능성이 높으므로 수익도 더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중간에 들어오는 참여자들에게는 한 달의 허니문 기간을 통해 보상을 주어서 후발 참여자를 배려합니다.
피블은 보물행성에서 다음과 같은 사용처를 갖습니다.
컴퍼니의 미션 NFT 지불
보물행성의 NFT캐릭터중 컴퍼니들은 새로 나오는 미션을 점유하기 위해서, 매일 PIB를 채굴료로 결제합니다. 컴퍼니 100개의 하루 PIB 채굴료는 약 250,000~500,000 PIB 에 해당하며 보물토큰의 가격이 상승하면, PIB 채굴료도 같이 상승합니다.
컴퍼니가 점유한 채굴 미션은 광부들이 도전, 광물을 채집하고, 미션에 성공한 뒤 보물토큰을 보상받습니다.
만일 PIB 코인이 부족한 컴퍼니는 자동 대여시스템을 통해, 결제합니다. PIB 크레딧을 빌려서, 채굴료를 지불했을 경우, 이자는 0.5%이며 이자와 원금은 미션 수행후 받는 보상으로부터 자동 상환됩니다. 이렇게 들어온 PIB와 이자는 PIB 스테이킹의 보상, 소각재원등으로 사용됩니다.
PIB – BOMUL 유동성 공급
클레이스왑 DEX 마켓에 PIB-BOMUL 토큰의 LP를 예치하고 KSP 와 보물토큰을 보상받습니다.
PIB 토큰의 단일 스테이킹
PIB 토큰을 예치하고 PIB 크레딧과 보물토큰을 보상받습니다.
스토리 진행상황에 따른 결제 수단
보물행성은 총 Ep1 ~ Ep10 스토리로 진행됩니다. 각 스토리에는 커뮤니티의 협동과 합성자산 생성등 다양한 퀘스트 들이 등장합니다.
이 때 PIB 토큰은 보물토큰과 함께 합성자산, NFT 구매등 다양한 용처에서 사용될 예정입니다.
NFT 마켓플레이스 결제 수단
보물행성 오픈과 함께 NFT 오픈 마켓플레이스 비트아르떼 v3 가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보물행성 NFT 마켓플레이스는 비트아르떼내의 콜렉티브로서 전용 판매관으로 입점합니다.
보물행성의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NFT 캐릭터를 포함한 대부분의 NFT 자산들을 보물행성 전용 판매관에서 판매할 수 있습니다.
비트아르떼 V3의 기본 결제 수단은 종전 KLAY에서 PIB 로 변경되며, 보물행성 전용관은 PIB와 BOMUL 토큰 두가지를 결제수단으로 사용됩니다.
Last modified 8mo ago